아모레퍼시픽 홍성봉 상무(CDT)
Intro
•
기업 전체의 데이터 여정에서 현장의 직원들이 어떻게 데이터를 잘 활용할 수 있게 하느냐가 중요한 문제
•
기업 내 젊은 직원들은 개인적으로는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나 능력이 좋은데, 기업차원에서는 잘 파악이나 활용이 안되고 있다.
•
데이터 거버넌스, 빅데이터 플랫폼 같은 것들은 잠시 잊고, 데이터 활용에 대해 이야기해보자
데이터를 너무 어렵게 보지 않기
•
데이터 전문가 vs. 현장 전문가
•
빅데이터 vs. 쓸모 있는 데이터
•
통계적 분석과 AI vs. 데이터 탐색
•
Technology vs. 상식과 논리
쉽지만 어려운 질문: Data는 정말 중요한가? (근본적인 질문)
•
데이터는 (존재하지만) 잘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한다
•
문제 해결 도구: 수요예측, 사용자 이탈 예측, 개인화 콘텐츠 생성
데이터 온보딩
•
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조직으로 변화시키는 것
•
조직 내 개개인이 데이터를 스스로 찾아서 활용하는 것을 일상화하는 것
•
조직 내 데이터를 활용한 문제 해결 역량을 갖추는 것
•
조직내 데이터 해결 역량이 없다면
◦
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거나, 인지하지 못하거나.
◦
외부 아웃 소싱으로 문제를 풀게됨 → 성과가 조직 내 지식 자산이 되지 못함
데이터 온보딩: How?
⟪The Art of Data Science⟫
•
Initiation: One-Cycle Action. 한 사이클을 돌려보는 것이 중요하다
◦
데이터 기반의 문제 해결에 대한 경험 만들기
◦
문제 정의 - 가설 수립 - 탐색적 분석 - 가설 모델링 - 시각화 및 리포트 작성 - 커뮤니케이션과 피드백
◦
데이터 전문가들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한 단계
◦
데이터 접근성의 확대/강화가 필요함
•
확산 및 시스템화
◦
One-Cycle Action의 작은 성공들을 확대하고, 이를 시스템화하여 공유
◦
조직 내 대시보드의 작성, 정형화된 리포트의 확대
◦
리더 중심의 데이터 기반 회의 문화 (조직 운영 시스템의 데이터화)
◦
정형화된 사례의 교육
CIO/CTO가 집중할 문제
•
현장의 비즈니스 문제를 데이터를 활용하면 ‘더 잘 해결할 수 있다’는 조직적 공감대를 어떻게 만들까?
•
데이터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직접 데이터를 추출하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어떻게 만들까?
•
위의 2가지를 어떻게 현장의 인력들이 직접 실행하게 만들까? (CoE 조직의 한계를 극복해야 함)
현실적 문제 정의하기
•
스토리텔링
•
데이터 활동의 수준 가이드하기
•
분석의 수준을 가이드하기
데이터 접근성 확보하기
•
Data Preparation
◦
현장의 니즈가 먼저냐? 데이터 준비가 먼저냐?
◦
대시보드냐 raw data냐?
•
Easy Access & Direct Analysis (CRM case)
일반 임직원 대상의 데이터 활용 역량의 강화
•
그들의 업무와 연관된 데이터 세트와 마트를 준비하기
•
대시보드와 보고서를 같이 만들어보기
•
지속적인 활용 교육의 실시 (오프라인,개인대상)
•
현장 특화된 소규모 프로젝트 해보기
•
(Optional) 사내 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해보기
Summary
•
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끝나면 바로 ‘활용’을 생각할것
데이터 활용의 핵심은 단위 조직이 ‘스스로’ 하는 것만이 의미가 있음
•
데이터의 직접 활용을 위하여,
데이터 전문 조직은 데이터 접근성, 데이터 활용 역량을 집중 지원할 것
•
데이터 활용의 조직 변화 관리를 위하여,
CIO/CTO는 각 부서의 리더와 현실적 문제 정의를 위한 구조를 만들 것