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윳값행렬과 고유벡터행렬
•
차원의 정방행렬 가 개의 고윳값과 이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가질 때, 그 고윳값과 고유벡터를 다음과 같이 표시하자
◦
고윳값:
◦
고윳벡터:
•
이 고윳값과 고유벡터를 묶어서 아래와 같이 고유벡터 행렬, 고윳값 행렬을 정의
◦
고유벡터 행렬 : 고유벡터를 옆으로 쌓아서 만든 행렬
◦
고윳값 행렬 : 고윳값을 대각성분으로 가지는 대각행렬
행렬의 대각화(diagonalization)
•
위와 같이 고유벡터행렬과 고윳값행렬을 정의하면 행렬과 고유벡터행렬의 곱은 고유벡터행렬과 고윳값행렬의 곱과 같음
◦
유도 과정
•
행렬의 대각화: 고유벡터행렬 $V$의 역행렬이 존재한다면 행렬을 다음처럼 고유벡터행렬과 고윳값행렬의 곱으로 표현 가능
대각화가능(diagonalizable)
•
행렬이 대각화가능하려면 고유벡터가 선형독립이어야 함
(= 고유벡터행렬 에 역행렬이 존재)
고윳값과 역행렬
•
대각화가능한 행렬에 0인 고윳값이 없으면 항상 역행렬이 존재함
•
증명
◦
대각화가능 행렬 :
◦
의 역행렬:
◦
대각행렬의 역행렬은 각 대각성분의 역수로 이루어진 대각행렬이므로 0인 고윳값이 없으면 항상 역행렬이 존재함
대칭행렬의 고유분해
•
행렬 가 실수인 대칭행렬이면 고윳값이 실수이고 고유벡터는 직교(orthogonal)함
•
만약 고유벡터가 크기가 1이 되도록 정규화된 상태라면 고유벡터 행렬 는 다음과 같이 전치 행렬이 역행렬임
•
따라서, 대칭행렬은 항상 대각화가능
대칭행렬을 랭크-1 행렬의 합으로 분해
•
차원 대칭행렬 는 다음처럼 개의 랭크-1 행렬 의 합으로 표시할 수 있음
•
아래와 같은 이미지로 나타낼 수 있음
•
만약 0인 고윳값이 없다면 역행렬도 아래처럼 표시할 수 있음
대칭행렬의 간략화
•
대칭행렬을 랭크-1 행렬의 합으로 분해할 때 각 요소는 모두 단위벡터인 고유벡터로 만들어진 행렬이므로 행렬의 놈이 1이 됨
•
하지만 고윳값은 크기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
•
따라서 고윳값이 작은 항을 몇 개 생략해도 원래의 행렬과 큰 차이가 나지 않을 것
공분산행렬(covariance matrix)
•
공분산행렬: 임의의 실수 행렬 에 대해 인 정방행렬
•
공분산행렬은 양의 준정부호임(positive semidefinite) - 음수인 고윳값은 없음
◦
모든 벡터 에 대해 공분산행렬에 대한 이차형식은 어떤 벡터의 제곱합이 됨
◦
따라서 0 또는 양수인 고윳값만 가짐
고윳값과 양의 정부호
•
대칭행렬의 경우 다음 성질이 성립함
1.
대칭행렬의 고윳값이 모두 양수이면 그 행렬은 양의 정부호(positive definite
)이다.
2.
역으로 양의 정부호(positive definite)인 대칭행렬의 고윳값은 항상 양수이다.
공분산행렬의 역행렬
•
공분산행렬에서는 다음 성질이 성립함
◦
행렬 가 풀랭크이면 이 행렬의 공분산행렬 의 역행렬이 존재한다.
그림: 양의 정부호 행렬에 대한 고윳값-고유벡터의 성질 (출처: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 - 고윳값 분해)
고유분해의 성질 정리
N 차원 정방행렬 A에 대해 다음 성질이 성립한다.
1.
행렬 는 개의 고윳값-고유벡터를 가진다. (복소수인 경우와 중복인 경우를 포함)
2.
행렬의 대각합은 모든 고윳값의 합과 같다.
3.
행렬의 행렬식은 모든 고윳값의 곱과 같다.
4.
행렬 가 대칭행렬이면 개의 실수 고윳값을 가지며 고유벡터들이 서로 수직(orthogonal)이다.
5.
행렬 가 대칭행렬이고 고윳값이 모두 양수이면 양의 정부호(positive-definite)이고 역행렬이 존재한다. 역도 성립한다.
6.
행렬 가 어떤 행렬 X의 공분산행렬 이면 또는 양의 고윳값을 가진다.
7.
행렬 가 풀랭크이면 공분산행렬 은 역행렬이 존재한다.
참고 자료